가리질 비료는 작물 생육에 필수적인 3대 요소 중 하나로, 광합성 산물의 이동과 축적, 뿌리 발달, 개화와 결실 등 농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좌우한다. 특히 전분·당·단백질 합성과 관련이 깊어 작물의 수량 증대와 저장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 역할
가리질 비료는 식물체 내에서 전분·당·단백질의 합성과 이동·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
부족한 햇빛 조건을 어느 정도 보완한다.
잎의 증산작용(수분 증발)을 조절한다.
뿌리의 발육을 촉진한다.ib612.com
꽃이 피고 열매가 맺히는 과정을 돕는다.
가리가 부족하면 잎이 좁고 오그라들며, 짙은 녹색을 띠다가 가장자리부터 마르기 시작한다. 오래된 잎에는 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낙엽이 빨라지며, 줄기는 가늘고 쉽게 꺾인다. 과잉 시에는 눈에 띄는 피해는 적지만, 마그네슘·칼슘·규산 흡수 저해가 발생할 수 있고, 벼의 경우 질소(NH₄⁺) 흡수도 방해받는다.
2. 화학적 형태 (K₂O 기준)
가리 비료는 비료에 포함된 가리의 용해성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무기질 비료 - 황산가리·염화가리처럼 수용성 가리를 함유.
구용성 비료 - 규산가리, 화성비료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일부는 난용성 형태.
유기질 비료 - 대두박, 유채박 등. 토양에서 분해되어 대부분 수용성 형태로 전환됨.
3. 비효 증진 방법
과실이 커지는 시기에 특히 많은 가리가 필요하므로, 사질토양이나 유기물이 적은 토양에서는 분시(나누어 주기)가 효과적이다. 토양에 흡착된 K⁺ 이온은 빗물 등에 의해 쉽게 씻겨 내려갈 수 있으므로, 보비력이 약한 토양에서는 유실이 크다. 석회와 고토가 부족한 산성토에서는 가리 과용 시 마그네슘 결핍이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석회·고토 비료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논에서는 담수 심도가 깊으면 가리 손실이 커지므로 얕게 물을 대고, 누수가 심한 논은 경운이나 방지대 설치가 필요하다.
4. 주요 비종별 특징
1) 염화가리 (MOP)
제조 - 가리광석을 정제하여 얻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수입.
특성 - 수용성 K₂O 60% 내외. 중성이지만 토양에 남는 염소로 인해 생리적 산성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효과 - 작물의 줄기·잎을 튼튼하게 하고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저장성과 맛, 섬유 품질 향상에도 기여한다.
시용법 - 밑거름·웃거름 모두 가능. 점토질에서 효과가 크고, 모래땅은 분시하는 것이 유리하다. 단, 흡습성이 강하므로 다른 비료와 혼합 시 즉시 사용해야 한다.
2) 황산가리 (SOP)
제조 - 염화가리에 황산을 반응시켜 제조.
특성 - 수용성 K₂O 50% 내외, 흡습성이 적고 다른 비료와 혼합 사용 가능. 생리적 산성비료이며, 염소 성분이 없어 민감한 작물에 적합.
효과 - 감자, 과수, 엽채류, 화훼, 담배 등에서 품질 개선 효과가 크다. 염화가리에 비해 수확량이 더 높다는 연구도 있다.
시용법 - 밑거름·웃거름 모두 사용 가능하며, 특히 엽채류와 과채류에는 입상 형태가 편리하다. 연용 시 유기물 소모가 크므로 퇴비와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b612.com
3) 황산가리고토 (썰포마그, Sul-Po-Mag)
제조 - 미국 뉴멕시코주에서 채굴되는 천연 광물(랑베나이트)로 생산.
특성 - 가리·고토·유황이 모두 수용성 형태로 포함되어 있어 작물에 흡수되기 쉽다. 중성이며 염류 집적 위험이 적다.
효과 - 엽록소 증가, 병충해 및 냉해 저항성 강화, 양분 균형 개선, 품질 향상 효과가 크다. 특히 염소에 민감한 작물(담배, 감자, 사과, 포도 등)에 적합.
시용법 - 기비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며, 황산가리 대비 약 2.5배 시용해야 한다. 벼·과수·채소류·담배 등 다양한 작물에 활용 가능하다.
5. 공정 규격 (주요 무기질 가리비료)
염화가리 - 수용성 가리 60% 이상
황산가리 - 수용성 가리 48% 이상
입상황산가리 - 수용성 가리 45% 이상
황산가리고토 - 수용성 가리 20%, 수용성 고토 17% 이상
가리질 비료는 작물의 생육 균형, 품질 향상, 병해 저항성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토양 조건과 작물 특성에 따라 적절한 종류(MOP, SOP, Sul-Po-Mag)를 선택하고 분시·병용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가리질 비료는 단순히 수량을 높이는 역할을 넘어 작물의 품질과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다. 토양 조건과 작물 특성에 따라 알맞은 비료를 선택하고, 석회나 고토와 병용하며 분시하는 등 올바른 관리가 필요하다. 적절한 활용은 병충해 저항성과 저장성 증진으로 이어져 농가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