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 재배에서 인산은 질소, 칼륨과 함께 중요한 3대 필수 영양소 중 하나이다. 인산은 광합성과 호흡, 당 대사에 관여하며 뿌리 발육과 결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토양 속에서는 쉽게 고정되어 식물이 바로 흡수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어, 비료 형태와 시용 방법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진다.
1. 인산의 기능
인산은 식물의 대사와 생장에 꼭 필요한 원소로, 광합성·호흡·당 대사와 같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DNA, RNA, 각종 효소의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
주요 효과
작물의 초기 생육을 빠르게 유도한다.
뿌리의 발달과 발아력을 높여 활착을 좋게 한다.
분얼과 줄기·잎의 수를 늘려 수량성을 향상시킨다.
착과와 결실을 촉진하여 품질을 높인다.
저온 피해(냉해)를 경감시킨다.ib612.com
만약 인산이 부족하면 잎이 작아지고 붉은 기가 도는 색으로 변하며, 줄기는 짙은 녹색을 띠게 된다. 그 결과 뿌리와 가지 수가 줄고 생육이 지연되며, 개화와 결실도 늦어져 수량과 품질 모두 저하된다. 반대로 인산이 지나치게 많으면 붕소나 규산 같은 다른 음이온 성분의 흡수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산은 토양에 잘 고정되어 작물이 바로 이용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실제로 시용된 인산의 10~20% 정도만 식물에 흡수되며, 철·알루미늄이 많은 토양에서는 불용화 현상이 더욱 심하다.
2. 화학적 형태
질소 비료와 달리, 인산 비료는 특정 용액에 대한 용해 정도에 따라 분류한다.
수용성 인산 - 물에 녹는 형태로, 빠르게 흡수된다. (예: 과린산석회, 중과린산석회 등)
가용성 인산 - 암모니아 구연산 용액에 녹는 형태. (예: 과린산, 중과린산 등)
구용성 인산 - 2% 구연산 용액에 녹는 형태로 완효성 비료에 해당한다. (예: 용성인비)
유기성 인산 - 뼈, 어분, 곡물 유박 등에 함유된 인산으로 서서히 분해되어 공급된다.
3. 인산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법
토양 pH 조절과 유기물 투입
인산이 가장 잘 이용되는 pH는 5.5~6.5 정도이다. 따라서 산성 토양에서는 석회나 고토 자재로 산도를 교정해야 한다. 퇴비나 녹비를 함께 사용하면 인산의 가급성이 높아지고 완충능이 향상된다.
시비 위치 조절
인산은 토양 내에서 이동성이 거의 없으므로, 작물 뿌리가 분포하는 위치에 직접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비 시기
인산은 초기에 흡수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기비로 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불가급태화되므로 추비 효과는 일정치 않다.
비료 선택
충적토와 같이 인산 고정력이 약한 토양에서는 비료 형태에 큰 제약이 없다. 화산회토양처럼 고정력이 강한 곳은 구용성 비료가 더 알맞다. 단기 작물은 속효성(수용성), 장기 작물은 완효성(구용성)과 혼합형이 효과적이다.
4. 주요 인산질 비료
(1) 용성인비 (FMP)
제조법 - 인광석과 사문암을 혼합해 고온(약 1400℃)에서 용융 후 급랭시켜 생산한다.
특징 - 구용성 인산 외에도 고토, 석회, 규산, 미량 원소(망간·붕소 등)를 함유한 복합 개량형 비료.
알칼리분이 많아 산성 토양 개량 효과가 크다.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유기산에 의해 분해되어 작물에 이용된다. 완효성이므로 장기간 효과가 지속된다. 특히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효과가 뛰어나다.ib612.com
시비법 - 벼·보리에는 10a당 4080kg, 채소에는 100140kg 정도를 기비로 사용. 저장성과 취급이 좋아 노동력 절감에 유리하다.
(2) 용과린 (FSP)
제조법 - 과린산석회에 용성인비를 혼합해 만든 비료.
특징 - 수용성과 구용성 인산을 모두 함유하여 속효성과 완효성을 겸비. 고토·석회·규산·유황 등도 들어 있어 종합적 토양 개량 효과. 유황이 함유되어 있어 최근 문제가 되는 토양 유황 결핍을 보완.
시비법 - 전작물 기비로 사용 가능. 특히 추운 지방이나 신개간지, 사질토에 효과적이다.
(3) 과린산석회 (SSP)
제조법 - 인광석을 황산으로 분해해 제조.
특징 - 수용성 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속효성 비료. 석고를 다량 포함하여 알칼리성 토양 개량에도 효과. 다만, 뿌리 근접 시비나 종자와 혼합 시 발아 장해 우려.
(4) 중과린산석회 (TSP)
제조법 - 황산 대신 인산으로 인광석을 처리해 만듦.
특징 - 가용성 인산 함량이 높아 효과가 빠르다. 과린산석회와 유사하나 석고·황산근이 거의 없다.
인산질 비료는 작물 생육을 촉진하고 뿌리와 열매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토양 성질과 시비 조건에 따라 효율 차이가 크므로, 토양의 pH 교정·유기물 투입·적절한 비료 선택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용성인비, 용과린, 과린산석회 등 각 비종의 특성을 파악해 작물과 토양에 맞게 활용하면 생육 안정과 토양 개량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