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작물별 주요 농사작업] 8월 하순

8월 하순 벼 수확 전 논관리, 김장채소 파종, 과수 병해충 방제, 가축 건강관리 등 농사 준비사항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8월하순 논


식량작물 관리

논 관리
조생종 벼는 이삭이 팬 후 30~35일이 지나면 논물을 완전히 빼야 수확 품질이 좋아집니다.
태풍이나 집중호우가 지나간 후에는 침수된 논의 물을 빨리 빼고, 쓰러진 벼는 세워줘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벼멸구가 늦게 발생할 수 있으니 후반기 예찰과 방제를 철저히 합니다.

밭작물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여 수확 시기의 작물 품질을 유지합니다.
참깨는 아랫부분 꼬투리가 2~3개 벌어지면 수확 적기입니다.ib612.com

퇴비
가축분뇨와 볏짚 등을 이용해 질 좋은 퇴비를 만들어 토양 개량에 활용합니다.

토양 분석
친환경 농업이나 GAP 인증을 준비하는 농가는 토양검정을 실시하고, 흙토람(soil.rda.go.kr)에서 비료 처방서를 확인해 맞춤형 비료를 사용하세요.


원예·특용작물 관리

김장 채소 준비
가을무 파종과 김장배추 아주심기를 위한 밑거름 작업이 필요합니다. 10a(1000㎡) 기준으로 석회 100~150kg, 붕사 2kg을 미리 뿌려 토양 산도를 조절합니다.

과수 병해충 관리
복숭아 순나방은 정밀 예찰 후 알맞은 약제를 살포해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사과는 부패병, 갈반병, 배는 흑반병과 배명나방 방제에 집중하세요.

느타리버섯 재배 준비
가을 재배를 위한 배지와 종균 준비, 그리고 지역에 맞는 품종(중온성 또는 저온성)을 선택합니다.

인삼 관리
인삼 종자 개갑을 위해 하루 2회 물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업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등 유익한 미생물을 작물에 적용하여 생육을 돕고 토양 건강도 함께 챙깁니다.


축산 작업

사료 및 방목지 준비
양질의 목초 씨를 뿌리고, 겨울용 사일리지 등 저장사료도 지금 시기에 잘 준비합니다.

가축 건강관리
외부기생충(진드기 등) 구제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비타민·무기질 첨가제를 급여하여 여름철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ib612.com
분만 예정 소와 송아지에는 기립불능증 예방을 위한 미네랄 보충이 필요합니다.

미생물 활용
축사 환경 개선과 장 건강을 위한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의 축산미생물을 활용합니다.

소독의 날
매주 수요일은 전국 일제 소독의 날로, 질병 예방을 위해 소독에 적극 참여합시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