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은 쉼 없이 바뀌고 식물들은 그 흐름 속에서 자랍니다. 월별로 꺾꽂이, 씨앗 파종, 알뿌리 심기 등 다양한 원예 작업 시기를 정리했습니다. 자연의 흐름에 맞춰 식물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껴보시기 바라며 풍성하고 멋진 정원 가꾸시길 바랍니다.
1월
꺾꽂이 - 명자나무의 가지를 이용해 삽목 시작 가능. 겨울에도 가능한 드문 시기.
2월
꺾꽂이 - 송백류는 이른 봄, 송진이 흐르기 전(2~3월 초)에 삽목에 적합.
나무심기 - 진백과 향나무 등 상록수 식재 적기.
파종
캘리포니아포피 - 2월 초 파종하여 봄꽃 기대.
아르메니아 - 2월 초 파종 시 4~5월에 개화.ib612.com
황화코스모스 - 2~3월 파종, 초여름부터 개화 시작.
3월
꺾꽂이 - 개나리는 꽃이 핀 가지를 이용해야 성공률이 높음. 꽃이 진 가지는 비추천.
씨앗 파종 - 코스모스, 메리골드, 맨드라미, 나팔꽃, 사루비아, 백일홍 등 다양한 봄철 꽃씨 파종 시기.
특이사항 - 루드베키아, 수레국화 등은 봄(3~5월)이나 가을(9~10월) 두 시기 모두 파종 가능.
허브 - 히솝은 이 시기에 파종하면 여름에 꽃을 볼 수 있음.
4월
구근식물 심기 - 카라 구근 식재 적기.
꺾꽂이 - 명자나무는 봄에도 번식이 잘 됨.
파종 - 해바라기, 공작초, 채송화, 천일홍 등 여름 개화종을 중심으로 다양한 꽃씨 파종 적기.
한해살이 추천 - 금어초, 팬지, 페튜니아, 코스모스 등 봄에 심으면 한철 내내 꽃 감상 가능.
5월
다년생 식물 정보
매발톱 - 추위에 강해 노지 월동 가능, 다음해 꽃 기대.
미모사 - 월동 어려워 삽목으로 번식 시도 가능.
씨앗 파종 - 여주, 풍선초, 나팔꽃 등은 이 시기 파종 시 발아율 높음.
꺾꽂이 - 나무류 중 고목은 5월 삽목 성공률이 높은 편.
기타 - 프리뮬라는 이 시기 파종 시 겨울 개화 가능.
6월
꺾꽂이 - 장마철 전후로 장수매, 철쭉 등 삽목 적기. 명자나무도 다시 시도 가능.
씨앗 파종 - 페튜니아는 늦게 심으면 가을꽃으로 활용 가능.
여름꽃 - 만수국, 신경초, 공작초 등은 이 시기 마지막 파종 타이밍.
7월
꺾꽂이 - 동백류는 여름철 번식 적기.
씨앗 수확 및 파종 - 매발톱, 아마릴리스 등은 씨를 바로 채종해서 심는 게 좋음.
가을~내년 봄 꽃 준비 - 석죽, 우단동자 등은 이듬해 개화를 위해 지금 심음.
8월
꺾꽂이 - 향나무, 철쭉, 야래향, 무초, 시계초, 남천 등 번식 가능.
씨앗 파종 - 펜지, 접시꽃, 시클라멘 등은 입추 전 파종이 이상적.
나눔 - 시계초류 및 무초는 나눔 또는 삽목으로 번식 시기.
9월
꺾꽂이 - 눕는 소나무, 소나무류, 공작단풍, 장미 등 다양한 수목류 번식 가능.
씨앗 파종 - 스위트피, 수레국화, 팬지, 니코티아나, 금잔화 등 가을파종 후 겨울 지내고 봄 개화.
10월
알뿌리 심기 - 튤립, 무스카리, 수선화, 히야신스, 크로커스 등 봄꽃 구근류 식재 적기.
씨앗 파종 - 포피류, 꽃도라지, 알리움 등 겨울을 보내고 봄에 개화하는 품종.
분주(포기나누기) - 샤스타데이지, 작약, 은방울꽃 등 다년생 초화류 분주 시기.
11월
알뿌리 심기 계속 가능 - 후리지아, 아네모네 등은 노지보다는 실내 관리가 필요.
실내 식물 관리 - 선인장, 난 종류 분갈이 시기.
다년생 관리 - 둥굴레, 동자꽃, 도라지꽃 등은 늦가을부터 심어도 월동 가능.
12월
산세베리아 관리 - 따뜻한 실내에서 10cm 정도로 잘라 삽목 시 새 잎이 잘 자람. 겨울철 실내 번식용으로 적합.
월별 원예 작업표 (재배/번식 가이드)
월 | 꺾꽂이 | 씨앗 파종 | 알뿌리 심기 | 기타 작업 |
---|---|---|---|---|
1월 | 명자나무 | - | - | - |
2월 | 송백류 (2~3월 초) | 캘리포니아포피, 아르메니아, 황화코스모스 | - | 진백, 향나무 심기 |
3월 | 개나리 (꽃 핀 가지 사용) | 코스모스, 맨드라미, 나팔꽃, 백일홍, 사루비아, 골레우스, 박, 복숭아, 리나리아(3/10), 함수초, 루드베키아, 수레국화, 유채꽃, 금계국, 히솝 | - | - |
4월 | 명자나무 | 해바라기, 나팔꽃, 샐비어, 과꽃, 채송화, 다알리아, 바질, 여주, 천일홍, 풍선초, 공작초, 목화, 미모사, 분꽃, 수박풀, 할미꽃 | 카라 | 봄 파종 일년초들 (금어초, 금잔화, 팬지 등) |
5월 | 고목나무류 | 나팔꽃 (5월 안 파종), 여주, 풍선초, 봉선화, 조롱박, 색동호박, 페튜니아 | - | 매발톱(노지월동), 미모사(비월동), 프리뮬라(5~6월 파종, 겨울 개화) |
6월 | 철쭉, 장수매, 장마꽃, 명자나무 | 만수국, 공작초, 신경초, 페튜니아(가을꽃용) | - | - |
7월 | 동백나무류 | 아마릴리스, 매발톱, 접시꽃 (씨 채종 즉시 파종) | - | 석죽류, 우단동자 (이듬해 개화용 파종) |
8월 | 향나무, 철쭉, 장수매, 야래향(꽃 후), 시계초, 무초, 남천 | 마가렛, 접시꽃, 만냥금, 패랭이, 일일초, 시클라멘, 커피, 파파야, 펜지(8월 중~하) | - | 무초, 시계꽃 등 꺾꽂이 또는 나누기 |
9월 | 눕는 소나무, 진백, 소나무류, 장미, 공작단풍, 실편백, 오엽송, 야래향, 부겐베리아 | 금어초, 금잔화, 스위트피, 수레국화, 니코티아나, 다이앤더스, 들수레국화, 양귀비, 팬지, 시네라리아, 루피너스, 후크시아 등 | - | 가을파종 야생화 및 이듬해 봄 개화 준비 |
10월 | - | 포피류, 알리움, 꽃도라지 | 튤립, 무스카리, 아네모네, 수선화, 사프란, 크로커스, 후리지아, 아이리스, 히야신스 | 샤스타데이지, 은방울꽃, 작약, 엉겅퀴 포기나누기 |
11월 | - | 도라지꽃,ib612.com | 무스카리, 사프란, 수선화, 크로커스, 아네모네, 히야신스, 아이리스, 후리지아 | 선인장·난류 분갈이, 둥굴레·동자꽃 심기 (11~6월) |
12월 | - | - | - | 산세베리아 잎 절단 후 삽목 (실내 온난한 환경) |
참고
루드베키아, 수레국화 등은 봄(3~5월)과 가을(9~10월) 모두 파종 가능.
나팔꽃, 여주, 풍선초는 늦어도 5월 안에 파종해야 발아가 잘 됨.
프리뮬라는 5~6월 파종하면 겨울 개화 가능.
가을에 파종하는 다년생 꽃은 겨울을 나고 봄에 개화.
댓글 쓰기